Computer Science/Network7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6편 IP, Ethernet 이전 글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6편 TCP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5편 HTTP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4편 SSL (TLS)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3편 Port(포트), Socket(소켓)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2편 DNS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1편 - LAN/WAN, TCP/IP 4 계층, 패킷 교환 방식 지난 편까지 TCP Segment를 만들었고, Internet Layer의 IP로 넘어왔습니다. 지난 편에서 Transport.. 2022. 8. 15.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6편 TCP 이전 글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5편 HTTP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4편 SSL (TLS)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3편 Port(포트), Socket(소켓)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2편 DNS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1편 - LAN/WAN, TCP/IP 4 계층, 패킷 교환 방식 어느새 6편을 쓰게 됐습니다. 제가 정리한 깊이도 얕지만, 처음엔 더 얕게 생각해서 더 짧게 끝날 줄 알았어요.. 파면 팔 수록 끝없이 나오고, 더 어려워지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이렇게 복잡한 약속들을 전.. 2022. 8. 13.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5편 HTTP 이전 글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1편 - LAN/WAN, TCP/IP 4 계층, 패킷 교환 방식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2편 DNS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3편 Port(포트), Socket(소켓)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4편 SSL (TLS) 드디어 구글 서버와 연결에 성공했습니다. 이제 우리가 사용하는 프로세스끼리 통신하고 싶은 내용을 작성하여 패킷을 구성해야합니다. HTTP: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규약 대게 어떤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단어의 뜻을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되곤합니다. 그래서 HTTP도 단어의 뜻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그래서 우선 HTTP는 .. 2022. 8. 10.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4편 SSL (TLS) 이전 글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1편 LAN/WAN, TCP/IP 4 계층, 패킷 교환 방식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2편 DNS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3편 Port(포트), Socket(소켓) 앞의 세 편을 통해서, 1) 모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연결되어 있으며(LAN/WAN), 상호간에 통신하는 약속이 정해져있고(TCP/IP 4계층 모델), 큰 데이터를 여러 작은 데이터로 쪼개서 통신한다.(패킷 교환 방식) 2) DNS 프로토콜을 통해 도메인 주소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얻어온다. 3) 알게된 IP 주소와 HTTPS의 Well Known 포트 번호인 433을 가지고 구.. 2022. 8. 10.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3편 Port(포트), Socket(소켓) 2022.08.08 - [분류 전체보기] -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2편 DNS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2편 DNS 2022.08.04 - [풀스택 개발자/Network] - [네트워크] 네트워크 흐름 - 주소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1편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1편 - LAN/WAN, TCP/IP 4 계.. daydayplus.tistory.com 지난 시간에는 주소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했을 때, DN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 주소를 얻어오는 것까지 알아보았습니다. TCP 소켓 연결 IP를 얻어오고 난 다음에는 이.. 2022. 8. 10.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2편 DNS 2022.08.04 - [풀스택 개발자/Network] - [네트워크] 네트워크 흐름 - 주소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1편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1편 - LAN/WAN, TCP/IP 4 계층, 패킷 교환 방식 전 세계의 컴퓨터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다. 우리는 어떻게 저 먼 미국의 서비스인 구글에 접속할 수 있을까요? 우선은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나 핸드폰이 구글의 서버와 유/무선으로 연 daydayplus.tistory.com 이전 편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들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크롬 주소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해보겠습니다. IP 주소 알아내기: DNS (Domain Name Syste.. 2022. 8. 8. [네트워크]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 1편 - LAN/WAN, TCP/IP 4 계층, 패킷 교환 방식 전 세계의 컴퓨터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다. 우리는 어떻게 저 먼 미국의 서비스인 구글에 접속할 수 있을까요? 우선은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나 핸드폰이 구글의 서버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지구상의 거의 모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죠. 그런데 구글과 내 컴퓨터가 바로 연결된 것이 아니라, LAN과 이 LAN들을 연결한 WAN의 복잡한 연결로 이뤄져 있습니다. LAN과 WAN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서, 말 그래도 근거리의 네트워크 장비끼리 연결해주는 네트워크입니다. 우리 근처에서 찾아볼 수 있는 예시로는 집에 있는 공유기가 있을 것입니다. 공유기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LAN port라는 이름이 보일 것입니다. 바로 근처에 있는 기.. 2022. 8.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