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1

[서비스기획자되기 Day2] 역기획(reverse planning) 이해하기 [What's today's +?] 지난번 글에서 이슈가 되는 서비스의 분석을 통해 인사이트를 키울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그리고 이것을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해 찾다가 도그냥님의 '혼자서 서비스기획 공부하는 방법'에 대한 글을 읽고, '역기획'이라를 방법을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그래서 오늘은 우선 '역기획'의 What/Why/How에 대해 정리했다. 1. [What] 역기획이란 무엇인가? 기본적으로 정해진 어떤 제품을 사용하고 관련 정보를 찾아, 이 제품이 어떻게 기획이 되었는지를 역으로 추측해보는 것이다. 단순히 겉으로 보여지는 UI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넘어, 앞선 포스팅에서 설명한 것처럼 실재로 기획을 하는 일련의 과정을 고민해야한다. 2. [Why] 역기획, 무엇에 도움이 되는가? 도그냥님.. 2021. 5. 11.
[서비스기획자되기 Day1] 서비스기획자 이해하기 (What's today's +?) 서비스 기획자가 되려면 우선 ①서비스 기획자가 하는 일을 알고, ②그 일에 따라 필요한 역량을 정리한 뒤, ③그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구체화해야한다고 생각했다. 감사하게도 인터넷 상에 서비스 기획에 대해서 설명해주시는 선생님들이 많이 계셔서 나름 간단히 정리를 해보았다. 1. 서비스 기획자가 하는 일 요약하자면, 웹/모바일 상에서 서비스(제품)을 만들고 개선하는 일련의 작업을 기획하고 관리하는 업무이다. 사실 너무 하는 일이 다양한 나머지 개발 빼고 다한다고들 말하기 때문에 더 방대한 분량으로 설명해야겠지만, 여기서는 단순하게 크게 다음의 3가지로 업무를 정리해보았다. 1)비즈니스 인사이트 찾기 & 사업성 검증 고객이 겪고 있는 문제(pain point)를 찾고.. 2021.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