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fs1 [알고리즘] 재귀와 깊이 우선 탐색(DFS)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가 재귀를 사용하는 방법이 흥미로워 정리해 놓으려 합니다. 이전 글에서 짧고 부족한 재귀를 이해하는 설명을 했습니다. 이번에는 여러 선택지가 있는 재귀에서 후퇴하는 방법입니다. 앞선 글에서 피보나치 수열을 예시로 설명을 했습니다. 그리고 이 수열의 표현식을 '점화식'이라고 하죠. N번째 항의 값은 그 이전 항(들)의 어떠한 로직으로 표현됩니다. 그런데 알고리즘에서는 이러한 일종의 점화식도 있습니다. N번째 항의 값은 N-1번째에 어떤 로직을 수행해서 이뤄지는데, 어떤 로직의 경우의 수가 2개 이상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좋은 바코드 문제입니다. 1, 2, 3으로만 이루어진 수열 바코드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 바코드를 만드는 데에 조건이 걸려 있습니다. 바코드에서 인접한 두 부분 .. 2022. 7. 28. 이전 1 다음